교육목표
메카트로닉스(mechatronics)는
기계공학(mechanics)과 전자공학(electronics)의 합성어로서, 기계 및 전자 분야의 하드웨어와 그것을 구동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융합형 실용학문이다.
메카트로닉스공학과에서는
기계·제어·전자 분야의 기초지식과 CAD (computer-aided design), PLC (programmable logic controller), MCU (micro-controller unit)의 전문지식을 학습하고, 이와 관련된 실험과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하며, 자동화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성실한 메카트로닉스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.
교육방침
신입생들에게는
전공을 이해하고 진로를 설정하여 장기적인 전망과 계획 속에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시작하도록 돕고, 향후 배우게 될 전공의 기초가 되는 기초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.
재학생들은
각종 이론과 실습 과목을 통해 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및 해석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성실한 메카트로닉스 전문가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이룬다.
졸업 전에는
캡스톤디자인(종합설계)을 통하여 그 동안 배워온 각종 이론을 설계에 활용하고 팀 단위의 협업으로 작품을 제작하여 실무능력을 개발한다. 또한 취업컨설팅을 통해 이력서/자기소개서 작성 및 모의면접 등으로 취업을 준비한다.
연혁
년도 | 내용 |
---|---|
1993 | 제어계측과 설치인가(주간 40명, 야간 40명) |
1994 |
제어계측과 신설 제어계측과 신입생 정원 조정(주간 40명, 야간 80명) |
1996 |
제어계측과 제 1회 졸업(주간 24명) 제어계측과 신입생 정원 조정(주간 80명, 야간 80명) |
1997 | 제어계측과 제 2회 졸업(51명) |
1998 | 제어계측과 제 3회 졸업(43명) |
1999 | 제어계측과 제 4회 졸업(71명) |
2000 | 제어계측과 제 5회 졸업(103명) |
2001 |
제어계측과 제 6회 졸업(105명) 제어계측과에서 컴퓨터제어과로 명칭변경 |
2002 | 컴퓨터제어과 제 7회 졸업(115명) |
2003 | 컴퓨터제어과 제 8회 졸업(115명) |
2004 |
컴퓨터제어과 제 9회 졸업(115명) 컴퓨터제어과 교육부 특성화 사업 선정 컴퓨터제어과 신입생 정원 조정(주간 80명, 야간 40명) |
2005 | 컴퓨터제어과 제 10회 졸업(104명) |
2006 |
컴퓨터제어과 제 11회 졸업(126명) 경기도 산.학.관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선정 컴퓨터제어과 신입생 정원 조정(주간 120명) |
2007 |
컴퓨터제어과 제 12회 졸업(114명) 경기도 산.학.관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선정 컴퓨터제어과 교육부 특성화 사업 선정 컴퓨터제어학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신설(20명) |
2008 |
컴퓨터제어과 제 13회 졸업(136명) 경기도 산.학.관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선정 컴퓨터제어과 교육부 특성화 사업 선정 |
2009 |
컴퓨터제어과 제 14회 졸업(105명) 경기도 산.학.관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선정 컴퓨터제어과 교육부 특성화 사업 선정 |
2010 |
컴퓨터제어과 제 15회 졸업(83명) 산학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선정(경기도 중기청) 전문대학 대표브랜드 사업 참여학과 선정(교과부) |
2011 | 컴퓨터제어과 제 16회 졸업(84명) |
2012 | 컴퓨터제어과 제 17회 졸업(81명) |
2013 | 컴퓨터제어과 제 18회 졸업(88명) |
2014 |
컴퓨터제어과 제 19회 졸업(84명) 전문대학 특성화 사업에 선정 컴퓨터제어과 신입생 정원 조정(주간 80명) |
2015 |
컴퓨터제어과 제 20회 졸업(99명) 메카트로닉스과(3년제)로 개편(주간 80명) |
2016 | 컴퓨터제어과 제 21회 졸업(102명) |
2017 | 컴퓨터제어과 제 22회 졸업(53명) |
2018 |
메카트로닉스과 제 23회 졸업(68명) 메카트로닉스공학과로 학과명 변경 및 신입생 정원 조정(주간 70명) |
2019 |
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제 24회 졸업(42명) |
2020 |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제 25회 졸업(58명) |